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(초짜)지만 업무에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지식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오늘부터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!
네트워크
네트워크 구성
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것은 사용자와 홈 그리고 사무실 등을 물리적 통신 설비를 기반으로 표준 통신 프로토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. 또한 네트워크는 또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거대한 인터넷으로 구성된다.
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개념에서 하드웨어기반의 구성요소가 필요한데, 그 예로 라우터, 스위치, 이더넷 카드, 커넥터 허브 등이 있고, 서버 시스템과 개인용 컴퓨터 같은 호스등이 있다.
네트워크 구성요소 | 기능 |
라우터 | IP주소기반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 장비 |
스위치 | 이더넷 주소기반 다음 목적지 회선 선택 장비 |
커넥터(RJ-45) | 다양한 통신장비를 네트워크로 연결 |
이더넷 카드 | 단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역할 |
모뎀,허브,공유기 | 데이터전송을 위한 통신 주변 장치 |
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면 거리와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많은 정보기술의 다양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. 먼저,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백업 장치를 비롯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들 그리고 수많은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들의 공유가 가능하다.
TCP / IP 프로토콜
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의 인터넷에서는 네트워크 주요 서비스인 이메일 서비스,포털서비스와 게임 등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어디서든지 이용할수 있게 된다.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/IP 프로토콜이다. TCP/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여러 토폴로지 형태의 네트워크를 연결한 것이 인터넷이다. 그리고 TCP/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내부 네트워크 사이 통신을 가능하게 한것이 인트라넷이다.
'STUDY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멀티스레드 #1 (0) | 2021.09.23 |
---|---|
[네트워크] 유니티 네트워크 공부#1 (0) | 2021.08.09 |
네트워크) TPC/IP 프로토콜 (0) | 2019.1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