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사에서 sdk 적용하는데, 관련 지식이 부족해서 한참 고생했다. 해당 파일들이 정확하게 무슨 기능을하는지 파악하며 작업 진행을 해야한다고 느꼈다.
Assets/Plugins/Android/mainTemplate.gradle
- 앱 모듈 수준 build.gradle에 대응합니다.
- dependencies { ... } 나 android { ... } 등을 통해 SDK 라이브러리, compileOptions 등을 설정합니다.
- 여기에서 SDK 의존성 (implementation) 을 선언합니다.
Assets/Plugins/Android/baseProjectTemplate.gradle
- 프로젝트 루트 수준 build.gradle에 대응합니다.
- 전체 프로젝트의 공통 설정을 담당하며, 주로 allprojects { repositories { ... } } 등을 설정합니다.
- 외부 저장소 추가(mavenCentral, google(), gradlePluginPortal()) 시 여기에 설정합니다.
Assets/Plugins/Android/settingsTemplate.gradle
- Android의 settings.gradle에 대응합니다.
- 여러 모듈이 있을 경우 프로젝트 구조를 정의합니다. 대부분의 Unity 프로젝트에서는 크게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- 외부 라이브러리 로컬 등록 시 include 항목 조정 가능.
Assets/Plugins/Android/gradleTemplate.properties
- 또는 Unity에서 생성 후 Library/... 아래
역할
- Gradle 빌드 시 사용할 전역 프로퍼티 정의
- 예: HIVE_SDK_VERSION=23.0.0, org.gradle.jvmargs=-Xmx4096M 등
- Hive SDK와 같은 BOM 사용 시, ${project.HIVE_SDK_VERSION} 값 주입에 사용됨
launcher/build.gradle
- Unity 빌드 시 자동 생성되는 실제 앱 빌드 대상 Gradle 스크립트입니다.
- 이곳은 직접 수정하지 않고 mainTemplate.gradle의 설정이 여기로 반영됩니다.
- 수동 수정 시 빌드 후 덮어써지므로 지양해야 합니다.
'유니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ty) UniRX (0) | 2024.12.01 |
---|---|
[유니티 커스텀 에디터] 맵툴 #2 (0) | 2021.08.04 |
유니티)TCP 채팅 #2 (0) | 2021.06.10 |
유니티)TCP 채팅 #1 (0) | 2021.06.09 |
[유니티] 유니티 PlayerPrefs 저장경로/ Application.dataPath/ (0) | 2021.05.03 |